슬라이드 타이틀1

슬라이드 타이틀2

슬라이드 타이틀3

성녀 김 로사

2017.03.19 19:47

기도방지기 조회 수:260

“다리를 부러뜨리고 몸을 천 조각 만 조각으로 내기 전에 어서 천주를 배반하고 공범자를 대라.”

“천주를 배반할 수도 없고 공범자를 댈 수도 없습니다.”

“어째서 못하겠느냐?”

“천주는 모든 사람의 창조자시여, 아버지시며,

덕을 사랑하고 악을 벌하시며 덕 있는 사람에게는 상을 주시고

악한 사람에게는 끝없는 형벌을 주십니다.

천주를 배반함은 죄악이니 삼가야 할 것이요,

사람을 해하는 것도 나쁜 일이니 하지 못할 것입니다.

더 이상 더 강권하셔도 쓸 데 없습니다.

저는 피를 흘려 이 진리를 증명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성령님 당신의 충만함에서 저희는 모든것을 받습니다 !

   저희에게 침묵을 가르치시어 제때에 말할 수 있게 하소서 !

 

   주님 믿음이 약한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

   주님 믿음약한 저희가 성녀 김로사의 굳은  믿음을 본받게 하소서 !

   성녀 몸이 천조각 만조각으로 부서져도 조금도 흔들림없던 김로사이시여 !

   불쌍한 저희위해 빌어주소서!


9.17.jpg

 

성녀 김 로사는 1783년 서울 외교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일명 ‘감곡집’으로 불렸는데 아마도 감곡골이란 곳으로 출가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남편이 죽은 후에 비로소 천주교를 알게 되었다. 천주교인 친척과 같이 살고 있었으므로 도리와 경문을 부지런히 배워 익혔다. 열심히 벌어 의식(衣食)이 구차하지 않았고 그래서 어머니와 동생들을 회두시키고 그들과 화목하게 살아나가기가 어렵지 않았다. 매양 진실한 통회를 바라고 신공에 아주 충실했다.

신부가 입국하자 마음의 준비를 열심히 하여 성사를 자주 받았다. 또한 사제에 대한 정성이 지극하여 자주 음식을 성심성의껏 준비하여 드리곤 했다.

김 로사는 이미 5월 24일 순교한 권득인 베드로와 같이 잡혔다고 한다. 그러므로 김 로사는 1839년 1월 16일에 잡혔을 것이다. 밤중에 수많은 포졸들이 불시에 달려들자 처음에는 어리둥절했으나 곧 마음을 수습하고 예수 마리아를 부르며 주님만을 위해 치명할 결심을 하고 동서와 함께 잡혀 갔다. 7월 20일 서소문 밖에서 치명한 8명 중 맨 처음으로 투옥된 김 로사를 포장이 출두시켜 신문했다.

“네가 천주학을 한다니 사실이냐?”

김 로사는 신앙을 고백했다. “네, 그러하옵니다.”

포장은 그 앞에 많은 형틀을 벌여 놓게 하고 신문을 계속했다. “다리를 부러뜨리고 몸을 천 조각 만 조각으로 내기 전에 어서 천주를 배반하고 공범자를 대라.”

“천주를 배반할 수도 없고 공범자를 댈 수도 없습니다.”

“어째서 못하겠느냐?”

“천주는 모든 사람의 창조자시여, 아버지시며, 덕을 사랑하고 악을 벌하시며 덕 있는 사람에게는 상을 주시고 악한 사람에게는 끝없는 형벌을 주십니다. 천주를 배반함은 죄악이니 삼가야 할 것이요, 사람을 해하는 것도 나쁜 일이니 하지 못할 것입니다. 더 이상 더 강권하셔도 쓸 데 없습니다. 저는 피를 흘려 이 진리를 증명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러나 임금께서는 이 교를 금하시지 않았느냐?”

“저는 국왕께 매어 있기는 합니다마는 그보다 먼저 천주께 속해 있습니다.”

이에 포장은 크게 노하여 잔인한 형벌을 가하게 했으나 그의 굳센 의지는 한결 같았다. 세 번을 계속하여 이같이 고문을 했으나 김 로사는 “죽을 따름입니다.” 하고 대답할 뿐이었다.

형조로 이송된 후에도 포청에서와 같이 몹시 매를 맞았지만 한결 같은 그녀의 굳은 신앙을 조금도 약화시킬 순 없었다. 드디어 참수형이 언도된 채, 여러 날 동안을 그대로 옥에 머물러 있다가 4월에 붙잡힌 교우들이 갇힐 때 서로 만나게 되었다.

1839년 7월 20일 마침내 옥살이 6개월 만에 서소문 밖에서 그들과 같이 염원하던 순교의 월계관을 쓰니 성녀의 나이 56세였다.


[소공동체 모임 길잡이 작은공동체, 2007년 1월호]

 

 

서소문 밖 - 최대의 순교 성지
 
서소문 밖은 바로 임금의 궁성이 있는 한양의 공식 처형지였다. 창업 이래 조선에서는 갖가지 모반 사건과 범죄, 정변 등으로 수많은 죄인들과 억울한 사람들을 처형하였다. 사형수는 크게 모반죄와 일반 범죄로 나뉘어졌는데, 그중 모반죄의 경우는 형장이 일정치 않았지만 나머지 사형수들은 주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형이 집행되었다. "서경"에서 말한 "형장은 사직단 우측에 있어야 한다."는 가르침을 따른 것이다.
 
서소문 밖 형장은 현재 서소문로와 의주로가 교차하는 서소문 공원 인근에 위치해 있었다. 경복궁에서 바라볼 때는 이곳이 바로 사직단(지금의 사직 공원에 위치) 우측이었기 때문이다. 또 한양의 성문 밖이란 점도 있었고,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곳이었으므로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었으며, 최종 판결을 내리는 형조나 의금부와 그리 멀지 않았기 때문에 형장으로는 아주 적격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시작된 이래 서소문 밖은 가장 먼저, 가장 많은 신자들이 처형된 순교터가 되었다. 그들은 포도청으로 끌려가 1차로 문초를 당하거나 형벌을 받고 형조나 의금부로 이송되어 판결을 받았다. 그런 다음 형조의 옥인 전옥서(지금의 광화문 사거리 동쪽 서린동 소재)에 갇혀 있다가 사령들에 의해 끌려 나와 형장으로 향하게 되었다.
 
"처형이 결정된 신자들은 옥에서 끌려 나와 수레 한가운데 세워진 십자가에 매달렸다. 십자가의 높이는 여섯 자 정도로, 신자들은 양팔과 머리칼만 잡아 매인 채 발은 발판 위에 놓여지게 된다. 수레가 광화문통을 옆으로 지나 서소문에 이르면 그 다음은 가파른 비탈길이다. 이 때 사령들은 신자의 발이 놓여져 있는 발판을 빼내고 소를 채찍질하여 울퉁불퉁한 자갈길을 달리게 하였다. 수레는 무섭게 흔들리고 신자의 몸은 머리칼과 팔만이 십자가에 매달린 채 고통을 받게 된다. 현장에 이르면 옷을 벗기고 꿇어 앉힌 뒤 턱 밑에 나무 토막을 받쳐 놓고 목을 잘랐다."(달래, [한국 천주교회사], 서설)
 
우리의 순교자들은 서소문 밖 형장에서 이렇듯 잔인한 대우와 형벌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 첫 순교자들로부터 80여 년 뒤인 1887년에 블랑 주교는 이곳 순화동의 수렛골에 교리 강습소를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공소가 되고 4년 뒤에는 약현 본당(현 중림동 본당)으로 발전하였으며, 1893년에는 약현 성당(사적 제 252호)이 완공되었다.
 
서소문 밖에서의 순교사는 대략 세 단계로 나뉘어지는데, 첫 단계는 신유박해 초기부터 지도층 신자들을 대상으로 시작되었다. 그 결과 1801년 2월 26일에는 첫 순교자가 서소문 밖에서 탄생하였다. 한국 교회의 반석인 이승훈(베드로)과 명도회의 초대 회장인 정약종(아우구스티노) 등 6명이 순교한 것이다. 그로부터 석 달 뒤에는 여회장 강완숙(골롬바) 등 남녀 신자 9명이 순교하였고, 10월과 11월에는 황사영(알렉산델)의 '백서' 사건과 관련하여 황사영, 현계흠, 황심(토마스) 등 5명이 죽임을 당하게 되었다. 이렇게 서소문 밖의 작은 개천가에 순교자들의 피가 뿌려진 뒤에야 박해는 막을 내렸다.
 
두 번째 단계는 기해박해 때로, 1839년 4월 12일에 성 남명혁(다미아노) 등 5명과 오랫동안 옥에 갇혀 있던 성 김아기(아가다) 등 4명이 이곳에서 참수형을 받았다. 이어 6월 이후에도 계속 순교자가 탄생하였으며, 8월 15일에는 성 정하상(바오로)과 유진길(아우구스티노)이 다시 이곳에서 참수되었다. 이때 조선 교회의 지도자요 밀사 역할을 하던 정하상은 미리 체포될 것을 예상하고 "상제상서"(上帝相書)를 작성하여 품안에 지니고 있었는데, 이를 조정 관리들이 발견해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천주교가 진교(眞敎)'라는 호교론이 알려지게 되었으나, 박해로 눈이 먼 그들은 이를 묵살해 버리고 말았다. 기해박해 때의 처형은 11월 24일에 성 정정혜(바르바라) 등 7명이 순교의 화관을 받은 뒤에야 끝나게 되었다.
 
세 번째의 병인박해 때 서소문 밖에서 순교한 사람은 남종삼 성인 등 3명으로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가해진 대박해임에도 이곳에서 순교한 신자가 적은 이유는, 아무 때 아무 곳에서나 신자들을 체포하거나 투옥하고 처형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록 기록에는 보이지 않을지라도 이름 모를 은화(隱花, 숨은 꽃)들이 서소문 밖이 형장에서 아무도 모르게 순교의 영광을 바쳤으리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서소문 밖은 분명 한국 교회 최대의 순교 성지였다. 103위 성인 중 44명이 이곳에서 순교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리기 위해 교회 측에서는 시성식이 이루어지던 1984년에 순교 기념탑을 서소문 공원 안에 건립하였으니 지금은 재개발 때문에 훼손된 상태이다. [편집자 주 : 1999년 성령강림 대축일에 새로운 순교자 현양탑이 세워졌다]
 
역사는 우연일 수 없다. 우리의 복음사 또한 마찬가지다. 우리가 언제나 주님의 섭리를 말하곤 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순교자들의 체포, 투옥, 포도청과 형조에서의 형벌, 서소문 밖에서의 죽음, 이들은 모두 복음의 고리를 이루면서 현재까지 이어지는 주님의 섭리요 한국 순교사의 맥이다. 따라서 형리들이 채찍질하는 수레의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을 당해야만 했던 수만은 순교자들이 '착하게 살고 영생의 복락을 얻기 위해 올바른 길을 걷는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삶을 살아왔다면, 순교 성지 서소문 밖 형장이 훼손되었다고 해서 결코 초라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3월호]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