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타이틀1

슬라이드 타이틀2

슬라이드 타이틀3

성녀 허계임 막달레나

2017.10.29 14:56

기도방지기 조회 수:282

 

과연 저녁에 남편이 돌아오자 크게 화가 나서 아내를 괴롭히며 목에 칼을 대고 협박했다.

“앞으론 하지 않겠습니다.”

결국 그는 굴복함으로써 간신히 죽음을 면했다.

그후 허계임은 이 장면을 떠올릴 때마다 배교한 것을 개탄했고

순교의 기회를 놓친 것을 후회하며 슬피 울었다.

그 후로도 계속 남편으로부터 박해를 받았으나

더 이상 굽히지 않고 열심히 수계하게 되었다.

 

 

 

성령님 불혀의 표징이여 !

저희 마음속에 당신사랑의 불이 타오르게 하소서 !

주님 찬미 받으소서 !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

주님 저희가  성녀 허게임 막달레나를  본받게 하소서 !

성녀 허계임 막달레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
9.36.jpg

성녀 허계임 막달레나는 그의 며느리 선 막달레나의 증언에 의하면 용인에서 출생했다. 부모님은 다 외교인이었으나, 과천의 봉천리에서 외교인이던 성주(星主) 이씨와 결혼 후 시누이 되는 이매임 데레사에게서 비로소 천주교에 대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아들이 없으므로 늘 “나는 열심히 믿다가 죽는 길 밖에 없다.”고 말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했다.

그러나 후에 양자를 들였고 선 막달레나를 며느리로 맞아들였다. 남편이 수계하지 못하게 온갖 방해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허계임은 그의 결심을 굽히지 않았다. 한 번은 남편이 이른 아침부터 그녀에게 폭행을 가하고 나서 외출했다. 허계임은 집안 식구를 모아놓고 남편에 대해 말하면서 잔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오늘 아침 너희 아버지가 내게 그렇게 난폭하게 굴었으니 저녁에 들어오면 아마 더할 것이다. 천주를 위해 죽기 전에 이렇게 잔치를 베푸는 것이 아마 이번이 마지막일 것이다.”

과연 저녁에 남편이 돌아오자 크게 화가 나서 아내를 괴롭히며 목에 칼을 대고 협박했다.

“앞으론 하지 않겠습니다.”

결국 그는 굴복함으로써 간신히 죽음을 면했다. 그 후 허계임은 이 장면을 떠올릴 때마다 배교한 것을 개탄했고 순교의 기회를 놓친 것을 후회하며 슬피 울었다. 그래서 그 후로도 계속 남편으로부터 박해를 받았으나 더 이상 굽히지 않고 열심히 수계하게 되었다.

허계임은 남편을 하느님의 자녀로 태어나도록 온갖 노력을 기울였으나 1838년 남편이 임종하게 되자 결국 허사가 되고 말았다. 허계임은 판공 때가 되면 시누이와 함께 상경, 딸집에 머물며 성사를 받고 돌아가곤 했다. 기해년 봄에도 마침 성사를 보러 상경했을 때, 박해가 크게 일어나 교우들이 많이 잡혀갔다.

허계임은 박해를 피할 수 없음을 짐작하고 주님을 위해 치명하기로 결심한 끝에 두 딸과 시누이와 함께 있던 교우 등 6명이 4월 11일 모두 포졸 앞에 나가 자헌하기에 이르렀다.

9월25일 ‘내일 네 어미가 형장에 나갈 것’이라는 소식을 들은 아들은 그날 밤 급히 상경해 어머니의 순교광경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는데, 망나니가 첫 번 칼을 쳤으나 목이 떨어지지 않자, 다음 망나니가 다시 한 번 칼을 치니 허계임의 목이 떨어져 나갔다고 한다.


때는 1839년 9월26일 서소문 밖 성녀의 나이 67세였다. 9월 26일 처형된 순교자들이 문초당한 이야기는 몇 분만 제외하고 상세히 알려져 있어 그분들의 위대한 행동과 확고한 신념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으나 기록이 가장 적게 남아 있는 것이 허계임에 대해서다.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다만 혹형을 참아 받아 그의 두 딸 이영희와 이정희보다 못지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것뿐이다. 유해는 현재 절두산 순교기념관에 안치되어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 <font size=3>36. 심아기 바르바라 (1783~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6.05 1203
72 <font size=3>35. 신태보 베드로 ( ?~1839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232
71 <font size=3>34. 손경윤 제르바시오 (1760~1802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148
70 <font size=3>33. 서석봉 안드레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203
69 <font size=3>32. 배관겸 프란치스코 ( ?~1800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183
68 <font size=3>31. 방 프란치스코 ( ?~1799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224
67 <font size=3>박해자에게 항변한 박취득 라우렌시오 기도방지기 2011.05.29 1259
66 <font size=3>30. 박취득 라우렌시오 ( ?~1799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299
65 <font size=3>29. 박사의 안드레아 (1792~1839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190
64 <font size=3>28. 박경화 바오로 (1757~1827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173
63 <font size=3>27. 문영인 비비안나 (1776~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221
62 <font size=3>26. 김희성 프란치스코 (1765~1816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164
61 <font size=3>25. 김화춘 야고보 ( ?~1816년) [1] 기도방지기 2011.05.15 1301
60 <font size=3>24. 김현우 마태오 (1775~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15 1260
59 <font size=3>23,김천애 안드레아 (1760~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15 1382
58 <font size=3>22. 김진후 비오 (1739~1814년) [1] 기도방지기 2011.05.15 1391
57 <font size=3>21. 김종한 안드레아 ( ?~1816년) [1] 기도방지기 2011.05.15 1376
56 <font size=3>20. 김종교 프란치스코 (1754~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08 1392
55 <font size=3>19. 김정득 베드로 ( ?~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08 1361
54 <font size=3>18. 김이우 바르나바 ( ?~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5.08 125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