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타이틀1

슬라이드 타이틀2

슬라이드 타이틀3

||0||0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로버트 엘스버그-
2005년 3월 / 참사람되어

이 책은 2003년, 미국 메리놀 출판사가 발간한
The Saints' Guide to Happiness(Robert Ellsberg 저)를 편역한 것입니다.
이글은  정중규 신부님의  카페에서  옮겨 온글입니다
이글이 머리에서 가슴까지의 우리의 여행길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시작합니다

서 언

우리는  행복하기  위하여  창조되었다.
그러므로  완전하게   행복한 사람은  자신에게 이렇게 말할 권리가 있다,
“나는 지상에서 하느님의 뜻을 행하고 있다” 라고.
모든 의로운 사람들, 모든 성인들, 모든 거룩한 순교자들은 행복했다.
- 도스토예브스키, 「카라마죠프가의 형제들」




모든 사람은 마음속 깊숙이 행복에 대한 갈망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행복을 다양한 통로와 다른 모습으로 찾고 있으며
자주 착각이 되기도 하지만, 같은 목표를 추구한다.
파스칼이 말한 것처럼, “어떤 사람은 전쟁에 가고, 또 어떤 사람은 가지 않는 이유는
둘 다 똑같은 욕망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이 욕망이 모든 사람이 하는 모든 행동의 동기이다.”

그러나 행복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철학만큼이나 보편적이고, 오래된 질문이다.
행복의 추구는 수 많은 책들의 주제가 되어 왔다.
그 중에 꽤 많은 책들은 행복을 얻기 위한 구체적 단계들을 제시한다­
“다섯 가지 원칙들”, “9개의 전략” 혹은 “100가지 비법들” 등등.
어떤 책들은 분명하게 행복을 “성공”과 동일시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성공을 물질적 번영이나 심리적 안녕과 연결 지어 생각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행복의 영적인 차원을 밝히면서 깨달음의 자세나 감사, 용서 같은 덕을 강조한다.
이런 범주에 속하는 책들은 불교에서 많이 나온다. 달라이 라마도 「행복의 예술」이라는 베스트셀러로 기여했다.


그러나 우리들은 이런 책들을 읽기 전부터 끊임없이 문화적 메시지의 흐름에 의하여 행복에 관한 상상을 키워왔다.
보다 나은 성, 더 젊게 보이는 용모, 혹은 수익이 더 큰 투자 등으로 행복을 약속하는 것은 잡지기사만이 아니다.
실제로 모든 광고와 TV선전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우리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가지고, 그들과 더 같게 보이고,
더 그들처럼 될 때에만 행복하다고 외친다.
이 모든 접근방식들은 행복을 어떤 주관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공통으로 갖고 있다.
행복은 궁극적으로 행복하게 느끼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느낌이란 심술궂고 변덕스러운 것이며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과 영향에 종속되기 마련이다.
이 사실은 행복이라는 영어단어 어원에 나타난다. “행복(Happiness)”은 “기회”,  “운”을 의미하는 hap에서 나왔는데,
이 hap에서 파생된 단어로는 “일어나다(happen)”나 “우연한 일(happenstance)”이 있다.


그러나 행복이 주관적인 것이 아니며,
느낌이나 운의 문제도 아니고,
단순히 그냥 일어나는 어떤 것도 아니라면 어쩔 것인가?
만일 행복이 보다 객관적인 조건, 신체적 건강과 비슷한 것이라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관점을 가졌다.
그가 행복의 의미로
사용했던 희랍어, eudaimonia는 느낌이 아니라 존재하는 방식, 어떤 충만한 삶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행복이란 우주의 이성적 도덕적 질서에 일치하며 살아가는 것이었다.
그것은 프로이드의 쾌락의 원칙보다는 건강한 식물의 만개에 더 가까운 의미이다.
그에게 행복은 영혼의 습관에 뿌리를 두기 때문에 진지한 노력의 선물이다.
또한 같은 이유로 행복은 변덕스러운 운의 대상이 아니다.

신약을 그리스말로 번역한 저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단어를 쓰지 않았다.
그들은 또 다른 희랍어, makarios를 사용했는데 이 단어는 신들의 행복을 의미한다.
마태오 복음서에서 예수가 산상수훈을 선포할 때 쓴 단어가 바로 이것이었다.
4세기에 신약을 라틴어로 번역한 예로니모 성인은 beatus라는 단어를 쓰는데,
이것은 행복과 축복의 개념을 합한 것이다.
그래서 이 구절들은 진복팔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대부분의 성서영역자들은 더 익숙한 표현인 “복되도다(Blessed) ...”를 선택한다.
결국 진복의 선언은 “웃는 얼굴”이나 행복하게 느끼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전혀 느낌이나 감정에 관한 것이 아니다.
진복선언은 하느님의 생명과 영을 나누는 것­  행복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영 안에서 제자(예수 자신처럼)는 “복된” 처지에 있으면서 슬픔, 고통, 상실을 경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되도다”는 가장 근본적인 의미에서 행복한 것과  같다.

이렇게 본다면 그리스도인들이 이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기를 너무나 꺼려하는 것은 뜻밖의 일이다.
왜 그럴까?
아마도 행복의 추구가 헛되거나 자기 중심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결국 복음이란 구원에 관한 것이지, 성공이나 “기분 좋게 느끼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른 한편 많은 사람들은 그리스도교를 우울한 도덕주의 그리고 자기부정과 연결시킨다.
그래서 그들은 행복에 관한 충고를 제일 마지막에 구할 수 있는 자리가 그리스도교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이런 모든 사람들, 그리스도인들을 포함한 다른 모든 종교와 피상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은
행복의 주제가 비단실처럼 그리스도교 전통 전체에 흐르고 있으며, 특히 성인들이라고 알려진 거룩한 사람들,
그리스도교 초기의 뛰어난 인물들이 지녔던 지혜 속에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리스도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볼 때, 이런 주장은 낯설거나 이상하게 들린다.
성인들은 물론 거룩함의 전문가들이나,
그들이 행복에 관해서 무엇을 알까?
그것은 물론 우리들이 행복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또한 거룩함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서도 결정되는 문제이다.
우리는 보통 성인들이 결점이 없는 사람들이며 오래 전에 기적을 행했고 교회 안에서 생을 보냈으며,
고통받는 기회를 열심히 찾고 일찍 세상을 뜬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미지의 성인들을 계속 그리고 있는 한 그들의 지혜는 우리가 닿을 수 없고 당혹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우리는 그리스도교가 우리 마음 속의 가장 깊은 염원에 거의 대답할 수 없다고 여기게 된다.

그러나 성인들에 대해 더 알게되면서 우리는 그들 역시 우리와 같은 질문들을 추구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즉 삶의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의 수많은 희망과 계획들이 왜 슬픔과 실망으로 끝나는가?
우리는 어떻게 참다운 평화를 찾을 수 있는가?
상실, 고통, 변하는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행복이 있는가? 등의 질문들이다.

많은 성인들은 꽤 알려져 있다.
어떤 이들은 순교자로 죽었다.
혹은 기도와 이웃 사랑에 헌신했다.
몇몇 성인들은 살아 있는 동안에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지막에 가서 그들이 성인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그들의 죽는 모습이나 환시, 혹은 훌륭한 행위 때문이 아니라,
사랑과 선함에 대한 탁월한 역량 때문이었으며,
그 모습은 다른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사랑을 일깨워 주었다.
(계속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 <font size=3>70. 최창현 요한 (1759~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7.16 1115
232 <font size=3>96. 정찬문 안토니오 (1822~1867년) [1] 기도방지기 2011.08.27 1113
231 <font size=3>66. 최봉한 프란치스코 ( ?~1815년) [1] 기도방지기 2011.07.16 1112
230 <font size=3>28. 박경화 바오로 (1757~1827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112
229 <font size=3>26. 김희성 프란치스코 (1765~1816년) [1] 기도방지기 2011.05.22 1112
228 <font size=3>109. 오 마르가리타 ( ? ~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109
227 <font size=3>원경도 요한 .... [1] 기도방지기 2011.06.05 1109
226 <font size=3>세 번째 편지 기도방지기 2011.10.23 1108
225 <font size=3>네 번째 편지 기도방지기 2011.10.29 1107
224 <font size=3>46. 이국승 바오로 (1722~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6.19 1107
223 <font size=3>59. 정순매 바르바라 (1777~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7.02 1106
222 <font size=3>53. 이중배 마르티노 ( ?~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6.26 1106
221 <font size=3>69. 최창주 마르첼리노(1749~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7.16 1105
220 <font size=3>82. 홍인 레오 (1758~1802년) [1] 기도방지기 2011.08.06 1104
219 <font size=3>78. 현계흠 바오로 (1763~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7.30 1103
218 <font size=3>68. 최인철 이냐시오 ( ?~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7.16 1092
217 <font size=3>113. 주문모 야고보 신부 (1752~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88
216 <font size=3>37. 안군심 리카르도 (1774~1835년) [1] 기도방지기 2011.06.05 1088
215 <font size=3>34. 손경윤 제르바시오 (1760~1802년) [1] 기도방지기 2011.05.29 1088
214 <font size=3>116. 최인길 마티아 (1765~1795) [1] 기도방지기 2011.09.12 108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