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타이틀1

슬라이드 타이틀2

슬라이드 타이틀3

||0||088. 홍재영 프로타시오 (1780~1840년)

  홍재영(洪梓榮) 프로타시오는 충청도 예산의 유명한 양반 집안 출신으로, 충주에서 태어나 한양에서 성장하였다. 1801년에 순교한 홍낙민(루가)은 그의 부친이요, 1866년에 순교한 홍봉주(토마스)는 그의 아들이다.

  프로타시오는 어렸을 때부터 부친에게서 교리를 배웠다. 또 장성한 뒤에는 동료들과 함께 교회 활동에 참여하거나 신앙 공동체를 만들어 함께 교리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1801년의 신유박해로 체포된 후에는 부친과 같이 신앙을 지키지 못하고, 배교한 뒤 전라도 광주로 유배되었다.1)

  유배지에서도 프로타시오는 한 동안 냉담 생활을 하였다. 그러다가 어느 날 은총의 힘으로 다시 신앙을 찾게 되었으며, 이때부터는 이전의 잘못을 보속하려는 생각에서 더욱 열심히 교리를 실천해 나갔다. 천주의 가르침에 따라 자녀들을 교육시키고, 기도와 묵상 생활에도 열중하였다. 어떤 때는 너무나 오랫동안 꿇어앉아 기도를 한 탓에 걷기 어려울 정도가 된 적도 있었다. 또 일주일에 대재(大齋)를 세 차례나 지켰고, 어려운 교우들을 위해 열심히 자선을 베풀었다.

  1832년 조정에서 유배자들에게 대대적인 사면령을 내리자, 광주 관장은 프로타시오를 불러다 ‘이제 마음을 고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설득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유혹을 물리쳤으며, 이후에도 그대로 광주에서 살았다.

  이로부터 7년 뒤인 1839년에 이르러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홍재영 프로타시오의 마음에는 순교자들의 뒤를 따름으로써 이전에 잃은 기회를 다시 찾겠다는 욕망이 가득하게 되었다. 또 그는 피신해 다니는 여러 교우들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집을 내어주고, 그들을 한가족처럼 대하였다. 그러던 중 전주에서 파견된 포졸들이 그의 집을 찾아와 함께 있던 천주교 신자들을 모두 체포하였다.

  광주의 관장은 프로타시오에게 한 번 문초를 하고 나서 다른 교우들과 함께 전주로 이송하라고 명하였다. 그때 읍내의 주민들 3~4백 명이 나와 ‘어떻게 의로운 사람을 이렇게 벌한단 말인가’ 하면서, 어떤 이들은 그를 붙잡고, 어떤 이들은 괴로움으로 울부짖기까지 하였다.

  전주에 도착한 날부터 프로타시오는 문초와 형벌을 받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그는 밀고하는 것도 주님을 배반하는 것도 모두 거부하였다. 감사 앞으로 끌려나가 형벌을 당하면서도 그의 신앙은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2)

  이제 전주 감사는 프로타시오를 어찌할 수 없다고 생각한 나머지 그에게 사형을 선고한 뒤 옥에 가두도록 하였다. 그 후 조정으로부터 사형 판결이 내려오자, 감사는 다시 한 번 프로타시오를 불러내 유혹해 보았으나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그의 사형 선고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홍재영은 근본이 흉악한 종자로 대대로 천주교를 신봉해 왔으며, 선교사를 청해 올 때 힘을 기울였고, 천주교 서적을 베낀 것이 110여 권에 이르며, 수십 명의 천주교 신자들을 숨겨주었습니다. 이처럼 죄악이 으뜸이 되므로 사형에 처하는 것이 마땅합니다.”3)

  이에 따라 프로타시오는 다른 동료들과 함께 형장으로 끌려나가 참수형으로 순교하였으니, 이때가 1840년 1월 4일(음력 1839년 11월 30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60세였다.

--------------------------------------------------------------------------------
1) "사학징의" 권2, pp. 295-298, 홍재영.
2) St. A. Daveluy, Vol. 5, Notices des Principaux martyrs de Corée(1858년 필사 정리), M.E.P. 소장, pp. 38-40 ; St. A. Daveluy, Vol. 4, Notes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ée(1860년 필사 정리), M.E.P. 소장, pp. 462-464.
3) "일성록", 헌종 기해(1839년) 8월 19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3 11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노동하는 것을 배우기2 기도방지기 2013.01.21 846
252 22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죽는 것을 배우기 2 [1] 기도방지기 2013.07.14 852
251 기도에 대하여-마더 데레사 자비 2012.09.13 854
250 7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놓아버리는 것을 배우기1 기도방지기 2012.12.21 856
249 하느님! 감사합니다! 기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셔서! 자비 2012.09.07 857
248 주님 김태호 바오로 형제를 주님께 들어올립니다 기도방지기 2012.12.01 857
247 26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맺는 말 [1] 기도방지기 2013.09.20 859
246 [스크랩] 마더 데레사 - 사랑은 가장 가까운 사람을 보살피는 것에서 시작된다. 자비 2012.09.21 864
245 감사합니다. 최종록대건안드레아 2014.01.04 864
244 윤진영 미가 수녀님 수고하셨습니다 ! 기도방지기 2014.02.09 874
243 신의 품으로 돌아가야 할 때 자비 2012.09.24 875
242 최양업신부의 열아홉 번째 편지 기도방지기 2012.08.04 879
241 124위 시복식 준비위원회 구성 준비 결정 기도방지기 2013.11.17 889
240 1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서언1 [1] 기도방지기 2012.12.04 890
239 배기현 콘스탄틴주교를 위한기도 기도방지기 2016.05.15 894
238 13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고요히 머무는 것을 배우기 1 [1] 기도방지기 2013.02.03 903
237 <font size=3>최양업신부의 열세 번째 편지 (2) 기도방지기 2012.05.27 906
236 18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고통받는 것을 배우기 1 [1] 기도방지기 2013.04.21 910
235 16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사랑하는것을 배우기 2 [1] 기도방지기 2013.03.16 911
234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제2대 위원장 선임 기도방지기 2012.07.01 91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