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타이틀1

슬라이드 타이틀2

슬라이드 타이틀3

||0||069. 최창주 마르첼리노(1749~1801년)

  ‘여종’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던 최창주(崔昌周) 마르첼리노는 경기도 여주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40대 초반에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후 그는 온 가족을 입교시키고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으나, 1791년의 신해박해 때 체포되어 광주로 압송되었다가 배교하고 석방되었다.



  이후 마르첼리노는 자신이 지은 죄를 깊게 뉘우쳤고, 순교의 은총을 입어 죄를 씻어 낼 방도를 구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는 가족과 이웃 교우들을 힘써 권면하였으며, 두 딸을 모두 교우에게 출가시켰다. 1801년 여주에서 순교한 원경도(요한)와 1839년 전주에서 순교한 신태보(베드로)가 바로 그의 사위들이다.

  여주 지방에서는 1800년 부활 대축일에 다시 박해가 일어났다. 이때 사위 원경도가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마르첼리노의 아내는 그에게 피신할 것을 간청하였고, 그의 어머니 또한 피신을 종용하였다. 이에 그는 한양으로 피신하기로 작정하고 길을 나섰다. 그러나 집을 떠난 지 얼마 안되어 순교를 다짐했던 이전의 마음을 되찾고는 다시 집으로 돌아왔으며, 그 날 밤에 체포되어 여주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관장은 즉시 최창주 마르첼리노에게 형벌을 가하면서 알고 있는 천주교 신자를 밀고하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그는 “천주교에서는 누구에게라도 해를 끼치는 것을 금하고 있으니, 한 사람도 고발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면서 밀고하기를 거부하였다. 이에 그는 다시 옥으로 끌려가 원경도와 이중배(마르티노) 등과 함께 갇혀 있게 되었다.1)

  이후 마르첼리노의 옥중 생활은 6개월이나 계속되었다. 또 10월에는 경기 감영으로 끌려가 다시 형벌을 받았지만, 그의 신앙은 여전히 변함이 없었다.

  1801년에 들어 신유박해가 시작되자, 감사는 옥에 갇혀 있는 신자들을 다시 끌어내 형벌을 가하면서 배교를 강요하였다. 이때 마르첼리노는 신자들을 대표하여 “모든 사람들의 임금이시며 아버지이신 참 천주를 알고, 그분을 섬기는 행복을 받았으니, 저희들은 그분을 배반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2)

  이제 형벌은 점점 더 가혹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창주 마르첼리노는 동료들과 함께 온갖 유혹을 뿌리치고 서로를 권면하였다. 그러자 감사는 그들을 어찌할 수 없음을 알고는 최후 진술을 받아서 조정에 보고하였고, 조정에서는 ‘고향으로 돌려보내 처형함으로써 그곳 백성들이 경각심을 갖도록 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마르첼리노는 동료들과 함께 여주로 압송되어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01년 4월 25일(음력 3월 13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53세였다.

  경기 감사가 조정에 보고한 마르첼리노의 최후 진술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최창주는 (천주라는 큰 부모가 있다 하여) 제 아버지를 진정한 아버지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아버지의 이름을 잊어버렸다고 말할 정도로 아주 흉악합니다. 또 모진 형벌을 당하면서도 교회 서적이 있는 곳을 대지 않았고, 끝내 (천주교 신앙을 믿는) 마음을 고칠 수 없다고 하였으니, 이는 인륜과 도덕을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아주 달가운 마음으로 죽음을 받아들이겠다고 하였습니다.”3)

--------------------------------------------------------------------------------
1) St. A. Daveluy, Vol. 5, Notices des Principaux martyrs de Corée(1858년 필사
  정리), M.E.P. 소장, pp. 111-112.
2) St. A. Daveluy, Vol. 4, Notes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ée(1860년
  필사 정리), M.E.P. 소장, pp. 91-92.
3) 사학징의 권1, p. 168, 최창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 <font size=3>송 종 례 수녀님의 글|♡ 한국시복 124위 [1] 기도방지기 2011.09.12 1264
172 <font size=3>118. 정광수 바르나바 ( ? ~1801) [1] 기도방지기 2011.09.12 1175
171 <font size=3>정광수 바르나바· 윤운혜 루치아 부부 [1] 기도방지기 2011.09.12 1396
170 <font size=3>117. 지황 사바 (1767~1795) [1] 기도방지기 2011.09.12 1149
169 <font size=3>116. 최인길 마티아 (1765~1795) [1] 기도방지기 2011.09.12 1086
168 <font size=3>여주성당 홈피 자료|♡ 한국시복 124위 [1] 기도방지기 2011.09.12 1219
167 <font size=3>115. 윤유일 바오로 (1760~1795)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80
166 <font size=3>114. 권상연 야고보 (1751~1791년)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80
165 <font size=3>113. 주문모 야고보 신부 (1752~1801년)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88
164 <font size=3>112. 윤지충 바오로 (1759~1791년)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18
163 <font size=3>111. 윤봉문 베드로 (1852~188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1 1019
162 <font size=3>110. 박대식 빅토리노 (1812~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084
161 <font size=3>109. 오 마르가리타 ( ? ~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109
160 <font size=3>124위 시복시성 진행상황 | 시복시성위원회 기도방지기 2011.09.10 1291
159 <font size=3>108. 박 프란치스코 (1835~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129
158 <font size=3>107. 양재현 마르티노 (1827~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115
157 <font size=3>106. 이정식 요한 (1794~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10 1059
156 <font size=3>105. 허인백 야고보(1822~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03 1063
155 <font size=3>104. 김종륜 루가(1819~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03 1028
154 <font size=3>103. 이양등 베드로 ( ? ~1868년) [1] 기도방지기 2011.09.03 1001
CLOSE